윤상현 의원, 차기 당대표 선거 앞두고 혁신과 지구당 부활 제안

강인아 기자 / 기사승인 : 2024-06-02 20:54:15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 '윤상현이 꿈꾸는 대한민국의 미래' 기자간담회
- 지구당 부활로 풀뿌리 민주주의 실현 강조

[파이낸셜경제=강인아 기자] 윤상현 의원(인천 동·미추홀을)이 국민의힘 차기 당대표 선거를 앞두고 당의 혁신과 지구당 부활을 주장했다.

 

▲사진. '윤상현이 꿈꾸는 대한민국의 미래' 기자간담회 개최

 

윤 의원은 31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주요 발언을 통해 당내 변화와 쇄신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날 기자간담회는 22대 국회 개원을 기념하여 한국인터넷신문방송기자협회(회장 전병길)와 한국언론연대(회장 전성남)가 주최 및 주관했다.


그는 특히 지구당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이를 통해 당의 활성화와 더불어 국민과의 소통 강화 방안을 설명했다.


윤 의원은 기자간담회에서 "지금이 국민의힘이 혁신할 수 있는 최적기"라며, 혁신을 위해 지난 총선 패배의 원인을 분석하고 이를 교훈 삼아 같은 실수를 반복하지 않기 위해 전당대회 전에 총선백서를 발간해야 한다고 밝혔다.


국민의힘이 이르면 이번 주 당 대표 선출을 위한 전당대회 과정을 총괄할 선거관리위원회를 출범시킨다. 전당대회 룰 개정과 지도체제 변경 등 논의에 힘이 실릴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윤 의원은 현재의 당대표 선출 규정에 대해 "100% 당심"에서 "50% 당심과 50% 민심"으로 변경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그는 "당은 민심이라는 바다 위에 떠 있는 배와 같으며, 국민 세금으로 운영되기 때문에 민심 비율을 확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윤 의원은 황우여 비상대책위원장이 고안한 절충형 지도체제 도입에 대해서는 "황우여 비상대책위원장이 혼자 결정할 문제가 아니다"라며, "공정한 룰 지도체제의 변경을 위해서는 특별위원회(특별기구)를 만들어서 의견 수렴을 한 다음에 전대 일정을 제시해도 늦지 않는다”고 밝혔다.

 

▲윤상현의원, "지역당(지구당)을 활성화 시키는 것이 정치 개혁이다"

 

‘지구당 부활’과 관련해 여야 모두 법안 발의가 잇따르는 가운데 22대 국회 개원 첫날 윤상현 의원은 지구당 부활과 관련한 정당법·정치자금법 개정안을 발의했다.


지역당 설치 근거를 마련하고 원외 정치인의 정당 활동을 지원하는 내용으로 각 지역당이 현역 국회의원처럼 연간 최대 1억5000만 원(1인당 최대한도 500만원)까지 모금할 수 있고, 사무직원은 2명까지 둘 수 있도록 하도록 했다.


윤 의원은 ‘지구당 부활’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지역당(지구당)을 활성화시키는 것이 정치개혁이며, 풀뿌리 민주주의를 정착시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2002년 불법 대선자금 전달 사건 논란 이후 폐지된 지구당을 부활시켜 정치 신인들이 정치권에 쉽게 진입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 선거관리위원회가 직접 관리하도록 하는 제도를 도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윤 의원은 간담회에서 당권 도전 여부를 밝히지는 않았지만, 전국을 돌며 연 이은 당 혁신 토론회를 주도하고 있고, 국민의힘 전당대회에서 ‘지구당 부활’이 당원들의 표심을 흔들 이슈로 급부상하고 있는 만큼 차기 당대표 선거에 대한 강한 의지를 내비친 것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다음은 윤상현 의원과의 일문일답 내용이다. 


Q. 22대 국회가 개원했는데 국회 방향 어떻게 전망하나요?


A. 대화와 타협이 사라지고 갑질 정치와 날치기 통과가 만연한 21대 국회는 최악이었어요. 이번 22대 국회에서는 이런 상황이 개선되기를 바라지만, 현재로서는 민주당이 의장과 법사위원장, 운영위원장까지 모두 차지하겠다고 선언하고 있어서 시작부터 어려움이 예상됩니다. 저는 이런 상황에서도 민주당 내 온건파들과 함께 협의체를 구성해 민생과 경제 살리기를 위한 원 구성을 위해 노력할 것입니다.


Q. 전당대회 출마 입장은 무엇인가요?


A. 지금은 전당대회 출마 여부가 중요한 게 아니라 국민의힘 혁신이 최우선 과제라고 생각해요. 지금이 국민의힘 혁신의 최적 타이밍이고, 이를 위해서는 공동묘지 같은 분위기의 침묵을 타파해야 한다고 봅니다. 전당대회는 7월이나 8월로 예상되지만, 전대 룰 결정은 뺄셈 정치가 아닌 덧셈 정치를 위한 것이 되어야 합니다.

Q. 라인 야후와 관련해 우리 정부 입장이 불분명하다는 의견이 많은데 이에 대한 생각은 어떤가요?


A. 이번 사태의 본질은 정보 유출로, 유출된 개인 정보가 중국에 흘러 들어갔을 가능성이 있다는 점이 일본이 민감하게 반응하는 이유라고 생각해요. 기업 경영이 아닌 경제 안보가 무너졌다는 위기감이 일본의 대응 방식을 다르게 만든 것이죠. 지분 매각 등을 포함한 갈등은 그리 없을 것으로 전망하며 조정 국면으로 잘 마무리 될 일이라고 판단합니다.

Q. 국민의힘 혁신을 위해선 윤상현이 당 대표가 되어야 한다는 당위성은 무엇인가요?


A. 저는 당 혁신을 위한 백서를 통해 처절하고 뼈아픈 반성과 성찰의 시간을 가지고 미래를 향해 나아가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당직을 맡아서 당이 과거 선거에서 승기를 다잡을 수 있었던 경험치를 바탕으로 기회가 주어진다면 변화를 꾀하는 데 힘을 아끼지 않을 것입니다.

 

파이낸셜경제 / 강인아 기자 goinakang@gmail.com 

 

[저작권자ⓒ 파이낸셜경제신문 | 파이낸셜경제TV.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강인아 기자
  • 글자크기
  • +
  • -
  • 인쇄
뉴스댓글 >

많이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