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배재연 남해경찰서 경무계 순경.(사진제공=남해경찰서) |
2020년 부산광역시의 시범 운영을 시작해 2019년도 대비 교통사고 사망자 수가 38%나 감소하였고, 보행자 사망자 수는 43%나 감소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시속 71km이상 주행한 과속 차량도 무인 단속 카메라 1대당 하루 평균 1.67건에서 0.53건으로 대폭 감소한 것으로 확인되고 그 효과를 인정받아 전국적으로 확대 시행되었다.
한국교통안전공단의 발표에 따르면 대한민국은 인구 10만 명당 보행 중 사망자 수가 노르웨이가 0.2명, 스웨덴이 0.3명인 것에 반해 우리나라는 3.5명으로 OECD회원국 중 최하위 수준을 기록하여 아직 대한민국의 교통문화는 선진화되었다고 보기 어렵다고 보여진다. 이에 해외 선진국이라고 불리우는 독일의 경우 제한속도는 시속 30km~50km이며, 영국은 시속 48km, 프랑스 · 덴마크 · 이탈리아 등 대부분의 국가들은 시속 50km를 초과하지 않고 있다.
이에 덴마크의 경우 시속 10km를 하향한 결과 사망사고가 24%와 부상사고가 9%가 감소한 것으로 발표하였고 호주와 독일의 경우 교통사고 사망사고가 각각 25%와 20%가 감소하여 도심의 운행 속도 하향이 그 효과를 발휘하였음을 발표하였다.
주행속도를 낮추는 것이 왜 교통사고를 감소시키는 것인가? 그 이유는 바로 주행속도에 따라 운전자의 인지능력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한국교통안전공단에서는 운전자 40명을 대상으로 주행속도에 따른 주변 사물 인지능력을 실험한 결과 시속 60km로 주행 시 운전자의 평균 49.1%로 주변 사물의 절반 이상을 인지하지 못하였지만 시속 50km로 하향하자 57.6%로 운전자의 인지능력이 향상되어 교통사고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는 실험 결과를 발표하였다.
이렇듯 안전속도 5030은 해외 및 국내에서 그 효과가 검증된 정책임이 확실하다. 하지만 일부 국민들은 주행속도가 낮아짐으로써 교통체증 등의 불편을 야기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우려를 나타내고 있지만 운전자 또한 보행자가 될 수 있고 보행자 또한 운전자가 될 수 있다. 즉 누구나 교통사고의 당사자가 될 수 있으므로 서로의 안전을 생각하는 교통문화가 대한민국에 자리 잡기를 기원한다.
[저작권자ⓒ 파이낸셜경제신문 | 파이낸셜경제TV.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