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기업 10곳 중 9곳, 자금사정 6개월 이내에 개선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전망

전병길 기자 / 기사승인 : 2022-12-05 13:28:28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매출 1,000대 수출기업 대상 자금사정 인식조사」


- [자금조달 사정 개선 시기] 당분간 개선 어려워(42%), ’23.3분기 이후(48%)
- 응답기업 29%가 전년 대비 자금사정 악화…원활(18%)보다 11%p 많아
- 자금조달 애로 1위 ‘은행 대출’(43%), 악화요인 1위 ‘대출금리 상승’(55%)
- [가장 필요한 정책 과제] 기업부실 고려한 금리인상 속도 조절(25%)

[파이낸셜경제=전병길 기자] 수출기업의 약 1/3 가량이 작년에 비해 올해 자금사정 악화를 겪었으며, 현 자금조달 사정이 향후 6개월 이내에 개선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전망되었다. 전국경제인연합회(이하 전경련)는 국내 주요 수출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자금조달 사정 인식조사’ 결과를 토대로 이같이 밝혔다.


기업 10곳 중 9곳, 자금사정 6개월 내 개선 어려울 것으로 전망


조사에 따르면, 국내 수출기업 10곳 중 9곳이 향후 6개월 이내에 자금조달 사정이 개선되기 힘들 것으로 전망했다. 자금조달 상황 개선 시점에 대한 질문에 ▶자금조달 상황이 ‘당분간 개선되기 어렵다’는 응답이 42%를 기록했다. 이어 ▶내년 4분기(25%), ▶내년 3분기(23%) 순이었다. 반면 내년 상반기 안에 자금상황이 개선될 것이라는 응답비율은 10%(▶내년 1분기(7%), ▶내년 2분기(3%))에 불과하여, 현 자금조달 사정이 단기간 내 개선되기는 힘들 것으로 전망되었다.

 

 

수출기업 29%가 전년 대비 자금사정 악화

철강(50%), 일반기계(44%) 업종 특히 어려워

 

작년 대비 현재의 자금조달 사정에 대한 질문에 조사대상 기업의 29%가 악화되었다고 응답해, 원활하다는 응답(18%)보다 11%p 높았다. 특히, 철강(50%)과 일반기계(44.5%), 자동차(33.3%) 업종은 전년 대비 자금사정이 악화된 기업의 비중이 전 업종(29%)보다 높았다. 이들 업종은 경기 둔화에 따른 수요 침체, 고환율‧고물가로 인한 생산비용 증가 등 경영환경 악화에 대출 금리까지 계속 오르며 자금조달 부담이 특히 가중된 것으로 보인다.

 



가장 어려움을 겪고 있는 자금조달 경로는 ‘은행 대출’(43.4%)
자금조달에 가장 부정적 요인은 ‘은행 대출금리 상승’(55.0%)


최근 가장 어려움을 겪고 있는 자금조달 방식은 ▶은행 대출(43.4%), ▶내부자금 조달(21.4%), ▶회사채 발행(14.3%), ▶정부 지원금(14.0%) 순으로 나타났다. 응답 기업의 절반 이상(55%)이 현 자금조달 상황에 가장 부정적인 요인으로 ‘은행 대출금리 상승’을 지목해 최근까지 이어지고 있는 급격한 금리상승이 기업들에게 큰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기업의 대출금리는 꾸준히 상승해 지난 10월 기업 대출금리가 5.27%로 유럽 재정위기였던 2012년 9월(5.3%) 이래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대출금리 상승폭도 0.61%p로 외환위기였던 1998년 1월(상승폭 2.46%p) 이후 가장 가팔랐다. 기업에 대한 은행의 대출태도 역시, 보수적인 기조가 이어지면서, 올해 말까지 기업들이 체감하는 대출장벽이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안정적 자금조달 환경 조성 위해 금리인상속도 조절(25%)이 가장 시급
정책금융 지원 확대(18.3%), 장기 자금조달 지원(18.0%)도 중요


지속적인 미국과 한국의 기준금리 인상과 최근 국내 단기자금시장 경색으로 자금조달 환경이 악화되는 가운데, 기업들은 안정적인 자금조달 환경 조성을 위해 정부가 우선 추진해야 할 정책과제로 ‘금리인상 속도 조절’(25.0%)을 가장 많이 꼽았다. 뒤이어 ▶‘정책금융 지원 확대’(18.3%), ▶‘장기 자금조달 지원’(18.0%)도 주요 과제로 응답했다.

 


유환익 전경련 산업본부장은 “단기자금시장 경색 상황이 쉽게 풀리지 않고 기업대출 금리 상승폭이 외환위기 이후 가장 높은 상황에서 금리‧환율‧물가 등 3중고를 겪고 있는 우리 수출기업들의 상황을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 면서, “대내외 경제상황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금리인상에 신중을 기하는 동시에 일시적으로 자금경색에 놓인 기업에 대한 정책금융 지원 확대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파이낸셜경제 / 전병길 기자 goinfomaker@gmail.com 

 

 

 

[저작권자ⓒ 파이낸셜경제신문 | 파이낸셜경제TV.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글자크기
  • +
  • -
  • 인쇄
뉴스댓글 >

많이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