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기업투자 안개 속, 대기업 약 절반(48.0%) 투자계획 없거나 미정

전병길 기자 / 기사승인 : 2022-12-05 13:20:09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500대 기업 2023년 투자계획 조사」-


- [’23년 국내투자] ‣계획 없음10.0%, ‣계획 미정38.0%, ‣계획수립52.0%
- 투자계획 수립한 기업도 ‘축소’ 응답이 ‘확대’ 보다 많아
- [투자위축 요인] 자금조달 애로(28.6%) >고환율(18.6%) >내수위축(17.6%)
- [투자활성화 시점] ’23년 하반기(29.0%) >기약 없음(26.0%) >’24년 상반기(24.0%)
- [투자촉진과제]①금리인상속도조절(24.6%)②자금조달시장활성화(22.0%)

[파이낸셜경제=전병길 기자] 자금시장 경색, 고환율 등 불안한 경제여건으로 기업들의 투자시계(視界)가 불투명하여, 국내 대기업의 절반 가량이 아직도 내년도 투자계획을 마련하지 못했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23년 국내 투자계획:‣계획 없음10.0%, ‣계획 미정38.0%, ‣계획수립52.0%


전국경제인연합회(이하 전경련)가 여론조사기관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매출액 500대 기업을 대상으로 ‘2023년 국내 투자계획’(100개사 응답)을 조사한 결과, 응답 기업의 48.0%가 내년도 투자계획이 없거나(10.0%) 아직 계획을 세우지 못했다(38.0%)고 답변했다. 투자계획을 수립한 기업은 52.0%에 그쳤다.


특히, 투자계획을 수립한 기업(52.0%)의 내년도 투자규모를 살펴보면, 과반(67.3%)은 올해와 비슷한 수준이지만, 투자 축소(19.2%)가 확대(13.5%)보다 많아 전반적으로 내년 투자실적이 올해보다 부진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투자를 주저하는 이유:자금조달 애로(28.6%),고환율(18.6%),내수위축(17.6%)


기업들은 내년도 투자규모를 늘리기 어려운 가장 큰 이유로 ‣금융시장 경색 및 자금조달 애로(28.6%)를 꼽았으며, 그 밖에도 ‣원/달러 환율상승(18.6%), ‣내수시장 위축(17.6%) 등을 지목했다.


실제로 기업들은 이미 기준금리 인상에 따른 시중금리의 급격한 상승주1)으로, 투자 자금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한편, 내년도 투자규모를 확대하겠다고 응답한 기업은 ‣미래비전 확보(52.4%), ‣업계 내 경쟁 심화(19.0%) ‣불황기 적극적인 투자로 경쟁력 강화 도모(14.3%) 등을 투자 확대의 주요 이유로 지적했다.

 



투자활성화예상시점:’23년 하반기(29.0%) >기약 없음(26.0%) >’24년 상반기(24.0%)


투자활성화 시점에 대해서는, 기업 과반(64.0%)주2)이 2023년 하반기 이후로 응답했으며, ‘기약 없음’을 선택한 응답 비중도 26.0%에 달했다. 투자활성화 시점을 2023년 상반기로 내다보는 응답 비중은 5.0%에 불과했다.


투자활성화 시점에 대한 구체적인 응답 비중은 ‣2023년 하반기 29.0%, ‣기약 없음 26.0%, ‣2024년 상반기 24.0%, ‣2024년 하반기 11.0%, ‣2023년 상반기 5.0%, ‣올해 이미 활성화 5.0% 순으로 조사되었다.

 


’23년투자 양대 리스크 : 글로벌 경기 둔화(29.1%), 환율상승 지속(21.3%)


기업들은 2023년 투자활동을 저해하는 양대 리스크로 ‣글로벌 경기 둔화(29.1%)와 ‣환율 상승세 지속(21.3%)을 꼽았다.


전경련은 무역의존도가 높은 국내 기업이 글로벌 경기 둔화에 따른 수출 감소, 고환율 지속에 따른 수입비용 증가에 직면할 경우 수익성 악화로 투자여력이 반감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밖에도, 기업들은 ‣고물가(15.3%), ‣글로벌 긴축 및 금리상승 지속(15.3%), ‣과도한 민간부채 및 금융시장 부실화(9.7%) 등을 내년도 투자 리스크 요인으로 지목했다.

투자촉진과제 :금리 인상속도조절(24.6%), 자금조달 시장 활성화(22.0%)


기업들이 바라는 국내 투자 활성화 과제는 ‣ 기준금리 인상 속도 조절(24.6%)과 ‣자금조달 시장 활성화(22.0%), ‣ 기업규제 완화(14.7%), ‣법인세 감세 및 세제지원 강화(13.7%) 등으로 조사되었다.

 



추광호 전경련 경제본부장은 “최근 금리인상에 따라 시중유동성이 축소되는 상황에서, 내년에 경기침체가 본격화될 경우 기업들은 수익성이 악화되고 투자자금 조달에 상당한 차질이 발생할 수 있다”라며, “기준금리 인상 속도를 조절하는 한편 적극적인 금융시장 안정대책을 사전에 강구하여 자금시장 경색을 미연에 방지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파이낸셜경제 / 전병길 기자 goinfomaker@gmail.com 

 

 

 

[저작권자ⓒ 파이낸셜경제신문 | 파이낸셜경제TV.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글자크기
  • +
  • -
  • 인쇄
뉴스댓글 >

많이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