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중구의회 강희은 의원 |
[파이낸셜경제=박영진 기자] 부산광역시 중구의회 강희은 부의장(더불어민주당)이 대표 발의한 조례안 5건이 지난 27일 제312회 정례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가결된 조례는 '부산광역시 중구 주거환경개선 특별회계 설치 및 운영 조례 일부개정조례', '부산광역시 중구 빈집정비기금 설치 및 운용 조례', '부산광역시 중구 청년복합공간 설치 및 운영 조례' 등 5건이다.
특히, '부산광역시 중구 빈집정비기금 설치 및 운용 조례'는 구 예산을 기금으로 적립해 철거·정비 등 빈집 문제 해결을 위한 안정적 재원을 확보할 수 있는 근거가 된다.
해당 조례는 올해 세 차례 본회의에서 부결됐으나 원도심 발전을 위한 정책들이 정치적 이해관계로 지연되어서는 안 된다는 공감대를 형성하여 최종 가결됐다.
강 부의장은 “원도심 곳곳에 방치된 빈집은 범죄와 화재 위험을 키우는 대표적인 안전 취약지였다”며 “이번 조례 통과로 그동안 미뤄져 온 빈집 문제를 더 이상 방치하지 않고, 체계적으로 관리해 안전하고 쾌적한 주거환경을 만드는 데 한 걸음 더 나아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우리 중구의 빈집뱅크 사업의 지속성과 예산 확보의 불확실성이 있었지만, 빈집정비기금 조례로 안정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근거가 마련된 만큼 속도감 있게 정비를 추진해 구민이 직접 변화를 체감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강 부의장은 부산의 대표적인 원도심 지역인 중구가 당장 해결해야 할 핵심 과제는 인구감소 대응과 정주환경 개선이라고 언급하며, 이러한 문제 해결에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져왔다.
인구감소의 대응을 위해 '부산광역시 중구 어린이집 무상우유급식 지원 조례'를 2024년 전국 최초로 제정하여 영유아의 보편적 복지 실현을 도모했으며, 청년 세대를 잡기 위해 '부산광역시 중구 청년 기본 조례'를 2018년도에 제정한 바 있다.
이번 '부산광역시 중구 청년복합공간 설치 및 운영 조례' 제정 또한 청년들의 활동 및 창업 공간 지원에 대한 제도적 기반을 마련한 것으로 청년이 머무르고 싶은 도시로 한 걸음 더 나아갔다는 평이다.
마지막으로 강 부의장은 “이번 조례들은 단순한 형식적 입법이 아닌, 현장에서 필요했던 제도를 실제로 작동하게 만드는 실질적 대안”이라며, “앞으로도 구민들이 변화와 효과를 체감할 수 있도록 집행 과정까지 세심하게 챙기겠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파이낸셜경제신문 | 파이낸셜경제TV.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