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 무역협상 합의로 韓 위기 전망, 對中 중장기 공략 다시 세워야
[파이낸셜경제]김윤정 기자=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세를 이어나가고 있는 중국시장에서 한국 기업의 점유율이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전국경제인연합회가 유엔의 세관통계 데이터베이스 '유엔 컴트레이드'(UN Comtrade) 무역통계를 이용해 2010년부터 2019년(1~11월)까지 중국 전체 수입시장에서 한국, 일본, 미국, 독일 등 상위 4개국의 시장점유율 변화를 분석한 결과, 한국은 2015년 10.4%를 정점으로 지속적으로 하락해 2019년 8.5%로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2015년부터 중국 정부가 ‘중국제조2025’를 표방하며 자국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지속 지원하면서 2015년과 비교하여 2019년 일본, 미국, 독일의 시장점유율 역시 하락했다. 일본은 8.5%에서 8.3%로, 미국은 8.9%에서 6.0%로, 독일은 5.2%에서 5.1%로 각각 하락했다.
* 자료: UN Comtrade
높은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는 중국시장에서 각국의 위상 변화를 알 수 있는 중국 내수용 수입시장 시장점유율* 추이를 살펴보면 한국은 2016년 7.9%로 최고점을 기록한 이후 2018년 5.4%로 2.5%p 하락했다. 한편 글로벌 생산기지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아세안은 2011년 10.2%에서 2018년 12.1%로 중국 내 시장점유율이 증가했다.
* 중국 내수용 수입시장 : 수출구조 중 가공무역, 보세무역, 기타를 제외한 일반무역
한편 재중 한국기업의 투자액 대비 매출액 추이를 살펴보면 2013년 7.3배를 정점으로 2017년 4.5배까지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업이익률도 2013년 4.9%에서 2017년 3.8%로 낮아졌다. 전기전자, 자동차 분야는 지난해까지 반도체 단가급락, 스마트폰.승용차 판매부진이 계속되면서 시장점유율이 큰 폭으로 하락했다.
이러한 가운데 금년 1월 워싱턴에서 G2인 미국과 중국이 약 2년에 걸친 치열한 협상 끝 에 1단계 무역협상을 타결함에 따라 향후 미국기업의 중국 수입시장 접근도가 개선되면서 한국기업의 중국시장 점유율은 더욱 낮아질 것으로 보인다. 이번 합의로 중국은 미국산 제품과 서비스 구매를 확대하기로 했다. 중국의 對미 공산품 수입액은 2017년 788억불에서 2021년 1,565억불로 두 배 가까이 증가하여, 수입비중은 2017년 9.1%에서 2021년 18.0%로 8.9%p 증가할 전망이다. 중국 수입시장에서 미국의 시장점유율은 공산품뿐만 아니라 농산품, 에너지, 서비스 품목에서도 증가할 예정이어서 한국기업의 중국시장 공략이 더욱 쉽지 않을 전망이다.
파이낸셜경제 / 김윤정 기자 goinfomaker@gmail.com
[저작권자ⓒ 파이낸셜경제신문 | 파이낸셜경제TV.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