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경제=박영진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배경훈, 이하 과기정통부)와 한국과학기술원(이하 KAIST)은 9월 4일(목) 대전 KAIST에서 미국 국무부, 제임스 마틴 비확산 연구센터(이하 CNS)와 함께「한·미 연구안보 국제 워크숍」을 공동 개최했다.
최근 글로벌 기술패권 경쟁이 격화되면서 첨단기술의 해외 유출 위험이 커지고 있다. 첨단기술은 국가 경쟁력과 직결되며, 안전한 공동연구 환경이 확보되지 않으면 국가 간 신뢰에도 영향을 미친다. 이에 따라, 연구안보는 단순한 기술 보호를 넘어 국가·경제안보와 신뢰 기반의 국제협력을 뒷받침하는 국가적 핵심과제로 부상하고 있다.
이번 워크숍은 이러한 공통의 인식을 바탕으로, 한·미 양국의 정책 당국과 연구기관이 한 자리에 모여 연구안보 강화 방안을 모색하고, 실질적인 협력 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행사에는 주관기관 외에도 미국 RAND연구소, 주한미국대사관, 한국연구재단, 과학기술정책연구원, 무역안보관리원 등 한·미 주요 기관의 전문가들이 참석했다. 스탠퍼드대학교 후버연구소(Hoover Institution)의 석좌연구원 글렌 티퍼트(Glenn Tiffert) 박사, 텍사스 A&M 대학교 연구·혁신안보 경쟁력연구소(RISC Institute) 소장 케빈 가마치(Kevin Gamache) 박사도 이번 행사에 참석하였다.
워크숍에서는 과기정통부가 한국의 연구안보 정책 방향을 설명하고, KAIST가 대학 현장의 사례를 소개했다. 이어서, 양국 참석자들은 각국의 연구안보 접근방식을 살펴보고, 국제협력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연구안보 위험을 식별하고 대응할 수 있는 구체적인 실천 방안을 논의하였다.
황성훈 과기정통부 국제협력관은 “이번 워크숍은 한·미 정부와 연구기관이 연구안보 협력을 본격화하는 의미있는 자리”라며, “과기정통부는 이번 논의를 계기로 연구성과 보호와 국제협력의 신뢰 강화를 위해 연구안보 분야에서 글로벌 협력을 더욱 공고히 해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조병관 KAIST 연구처장은 “KAIST 역시 연구안보의 중요성을 깊이 인식하고 국제협력의 핵심 가치로 삼고 있다”며, “오늘 논의된 내용을 국제학술·연구교류에 적극 반영하고, 대학과 출연연이 국제협력 과정에서 상호 신뢰할 수 있는 연구안보를 실천할 수 있도록 선도적인 역할을 해나가겠다”고 말했다.
파이낸셜경제 / 박영진 기자 you7984@hanmail.net
[저작권자ⓒ 파이낸셜경제신문 | 파이낸셜경제TV.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