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육정미 의원 |
[파이낸셜경제=김지훈 기자] 대구시의회 육정미 의원(비례대표)은 11월 28일, 제321회 정례회 제2차 본회의 5분자유발언을 통해 대구시에 2.18 지하철 참사 희생자 유족들을 위한 적극적이고 따뜻한 행정을 촉구했다.
육 의원은 참사가 발생한 지 20년이 넘었음에도 유족들이 여전히 법적 다툼 속에 고통받고 있는 현실을 지적하며, 대구시가 행정 편의주의에서 벗어나 진정성 있는 태도로 문제 해결에 나설 것을 주문했다.
특히 현재 팔공산에 위치한 ‘대구시민안전테마파크’의 정체성 문제를 집중적으로 거론했다. “시민안전테마파크는 국비와 시비 외에도 국민성금 58억 원이 투입되어 조성된 곳”이라며, “성금이 투입된 것은 이곳을 단순 안전 교육 시설이 아닌 희생자들의 넋을 위로하는 ‘추모 공원’으로 만들겠다는 국민과의 약속이었다”고 강조했다.
이어 육 의원은 “하지만 현재의 명칭만으로는 이곳이 2.18 참사의 교훈 위에 세워진 추모 공간임을 알기 어렵다”며, 2021년 유족들이 청원했던 ‘2.18 기념공원’ 명칭 병기를 신속히 이행할 것을 강력히 요구했다. 대구시가 인근 상인회의 반발 등을 이유로 명칭 병기에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는 것에 대해 “유족들에게 희망 고문이 되고 있다”고 언급했다.
또한, 참사의 특수성을 고려하지 않고 '장사법'이나 '자연공원법' 등 법령의 한계만을 내세우는 대구시의 태도를 꼬집었다. “유족들이 원하는 것은 거창한 보상이 아니라, 희생자 수와 똑같이 심어진 나무 아래서 가족을 추모하고 싶은 소박한 바람”이라며, “행정적으로 풀 수 있는 모든 해법을 모색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끝으로 육정미 의원은 “진정한 추모는 차가운 판결문이 아닌 상처를 보듬는 따뜻한 행정의 온기에서 시작된다”며, “대구시가 먼저 손을 내밀어 20년 넘게 이어져 온 유족들의 눈물을 닦아달라”고 거듭 강조했다.
[저작권자ⓒ 파이낸셜경제신문 | 파이낸셜경제TV.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