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전북특별자치도청 |
[파이낸셜경제=김예빈 기자] 전북특별자치도는 미국 관세 정책 등 통상 위기에 맞서 수출기업을 위한 정책금융 확대, 시장 다변화, 애로 해소 및 역량강화 등 맞춤형 정책 사업을 추진한다고 6일 밝혔다.
올해 미국의 대외 무역정책 강화로 철강·알루미늄에 50%의 고관세가 부과되고 있다. 파생상품과 품목별 관세가 확대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이에 도는 지난 2월 신속한 대응을 위해 통상정책 전담 조직을 구성해 △수출기업 특별자금 신설 및 정책자금 확대 △관세 대응 수출 바우처 및 해외 전시회 참가 확대 △수출피해 신고센터 운영 등 선제적 대응체계를 가동 중이다.
기업이 가장 필요로 하는 수출기업 특별자금 100억 원을 신설했다. 거치기간 연장지원 600억 원과 긴급대환자금 200억 원도 마련했다. 이를 통해 관세 피해 우려기업의 경영 안정을 도모한다.
신흥시장 개척 등 시장 다변화를 위해 관세 대응 수출 바우처를 새로 조성했다. 해외전시회 참가 예산도 확대해 기업의 신시장 진출을 적극 뒷받침한다. 오는 12~13일에는 120여 개 기업과 80여 명의 해외 유망 바이어가 참여하는 ‘2025 JB-FAIR’를 개최한다. 이를 통해 신규 판로 발굴과 글로벌 네트워크 확대에 나선다.
신규 수출국 진출에 필요한 규격인증 취득 지원을 늘렸다. 관세 리스크 대응을 위한 통상 전문가 밀착 지원도 강화했다. 기업과 전문가를 1:1로 매칭해 대면 상담은 물론 이메일, 카카오톡, 전화 등 다양한 채널을 통해 실시간 상담을 제공한다. 변화하는 통상 환경에 즉각 대응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서다.
유관기관과 함께 ‘기업설명회’를 지속 개최해 미국 관세 정책 변화에 대한 기업 이해도를 높이고 대응방안을 공유하고 있다. '미국 통상정책 대응 종합대책'도 수립했다. 1,800여 개 수출기업을 대상으로 메일링 서비스·유관기관 홈페이지 게시 등 다각적인 채널을 통해 정보를 제공 중이다.
지난 8월에는 2026년 수출지원 정책 수립을 위해 도내 수출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사업 만족도, 확대 필요분야, 신규 희망 지원사업 등을 조사했다.
조사 결과, 수출바우처와 보험료 등 수요 맞춤형 지원(24%)과 해외시장 판로 개척 지원 확대(23%)에 대한 요구가 가장 많았다. 해외 특허·상표권 보호(13%), 신흥시장 개척(12%), 해외 규제 대응 컨설팅(11%) 등 체감형 지원에 대한 수요도 높았다.
이에 따라 도는 수출바우처와 해외 전시회 단체참가 지원 규모를 대폭 늘릴 계획이다. 재구매 바이어 유치 지원사업도 새롭게 추진한다. 중동·동남아 등 신흥시장 진출에 필요한 ‘할랄 인증’ 지원을 신설하고, ESG·환경 대응 컨설팅(탄소배출량 산정 등)도 강화할 방침이다.
기업 편의를 높이기 위해 유관기관별 지원사업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는 ‘전북 수출지원 종합안내서’를 제작·배포한다. 수출 초보기업부터 중견기업까지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할 예정이다.
김인태 전북자치도 기업유치지원실장은 “중소기업 피해를 최소화하고 글로벌 시장에서 새로운 기회를 창출할 수 있도록 정책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며 “현장의견과 설문조사 결과를 반영해 기업이 실질적으로 체감하고 수출 계약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사후 관리에도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도는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단기 수출보험과 수출신용보증 할인을 포함한 다양한 수출보험 지원을 제공하고 있다.
EMS·국제물류비의 50% 지원 등 국제 특송 및 해외물류 비용 부담도 경감하고 있다. 수출기업 지원 관련 세부 사항은 전북수출통합지원시스템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저작권자ⓒ 파이낸셜경제신문 | 파이낸셜경제TV.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